• 제약자료
  • 제약산업전략
  • 제약자료

    제약자료

     구인 신청  채용 정보  이력서 등록

      고객지원센터

      02 - 555 - 5425

      nawchoi@naver.com

    제약산업전략

    제약/바이오전문 1등 헤드헌팅사 나우팜컨설팅

    정부,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1조원 투입

    페이지 정보

    관리자 21-05-27 15:11

    본문

    정부,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1조원 투입
    이정환 기자 2021-05-26 12:00:48
     
    바이오헬스 지재권 대응·의료기기 정책도 확충
    홍남기 부총리 "바이오헬스·제약, 한 세대 먹여살릴 미래산업"
     
    [데일리팜=이정환 기자] 정부가 2023년부터 6년 동안 약 1조원을 투입해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한다. 미래 정밀의료 분야에서 글로벌 5대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이다.
    개발단계 특허분쟁 대응, 지식재산 데이터 활용지원 등으로 바이오헬스·제약산업 선점 정책을 펴겠다는 청사진도 내놨다.
    26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린 'BIG3 추진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반도체 산업에 이은 '한 세대를 먹여 살릴 미래산업'으로 규정하고 전방위적 지원을 약속했다는 의미가 있다.
    바이오신약·혁신의료기기 등 핵심기술 R&D 집중투자, 사업화 지원, 임상인브라 확충, 전문인력 육성 등 바이오 산업 생태계 고도화에 역점을 두고 우리나라 혁신성장을 이끌겠다는 방침이다.

    홍 부총리는 "오늘 회의에서 주로 논의할 레드바이오, 즉 바이오헬스산업은 코로나19 팬더믹, 인구문제, 건강관심 등이 맞물려 최근 폭풍성장했다"며 "바이오헬스 수출은 2020년부터 40%~50%대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매출 1조원 초과 제약·바이오기업도 2018년 6개에서 2020년 12개로 2배 증가했고 코스피·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대기업 중 바이오기업이 다수 포진할 만큼 국내 경제 주력산업이 됐다"며 "다만 코로나 백신개발·보급에서 보이듯 바이오헬스 산업은 기술선도자의 승자독식 가능성이 높아 기술경쟁, 시간싸움, 총력지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급변하는 바이오산업 환경에 대응, 신약‧혁신의료기기 등 핵심기술 R&D 집중투자, 사업화 지원, 임상 인프라 확충, 전문인력 육성 등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얘기다.

    이날 회의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의료기기 육성전략, 미래 정밀의료 선도를 위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활용 계획, 생물안전연구시설(BL3) 운영 활성화·규제개선, 바이오산업 지재권 지원 추진방안을 상정·논의했다.

    ◆포스트 코로나 의료기기산업=정부는 2025년까지 의료기기 세계시장 점유율을 7위까지(현재 10위) 끌어 올리기 위해 국내 의료기기 전략분야 집중육성, 산업생태계 조성 등을 추진한다.

    국내의료기기 사용 활성화를 위해 병원부설 교육훈련센터 2개(‘20)에 이어 광역형센터 2개(수도권1, 비수도권1)를 추가 구축하고, 디지털헬스 테스트베드 운영과 함께 혁신의료기기 사용 의료기술은 건보체계에 신속 포함한다.
    체외진단, 치과·영상진단 등 주력분야에 대해 범부처 전주기 R&D를 추진하고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 의료기기 국제인증지원센터를 구축(‘22~, 1개소)한다.
    아울러 신의료기술평가 맞춤형 컨설팅 실시, 신속 시장출시를 위한 허가·심사 특례개선과 함께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를 애로해소 허브로 활용한다.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활용=미래정밀의료 분야 글로벌 5대 선도국가(TOP 5) 도약을 위해 2023년부터 6년간 약 1조원을 투입하는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한다.
    지난해 410억원을 투입한 시범사업에 이어 총 6년간 9,878억원의 본사업 추진예정으로 상반기 중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
    먼저 질환별 환자 40만명, 자발적 참여자 60만명 등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소위 '국가통합 바이오데이터댐'을 2028년까지 100% 구축한다.
    고품질 유전체 데이터 생산과 데이터 추적환류체계 마련을 위해서다.
    민감정보인 바이오 빅데이터의 원활하고 안전한 활용 등을 위해 빅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작업절차(SOP) 수립, 플랫폼(H/W) 구축, 슈퍼 컴퓨팅기반 보안 분석환경 구축 등도 추진한다.
    임상, 역학, 멀티오믹스 등 데이터 기반 연구과제 지원 및 비지니스 모델 개발과 유전체 분석 핵심기술·장비 개발(’23~) 등 산업화 과제도 적극 지원한다.

    ◆생물안전연구시설(BL3) 운영 활성화·규제개선=감염병 필수 연구시설인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BL3)의 개방성∙접근성 강화·공급을 확대한다.
    2022년까지 바이러스기초연구소 보유시설 등을 개방형으로 시범운영하는 등 기존시설 활용을 극대화하고 동식물 감염병 연구용 BL3 시설을 국내 최초로 구축한다.
    부처·기관별로 산재한 BL3 공동활용을 위해 원 스탑 지원시스템을 마련하고, 시설·자원 공유를 위해 BL3를 보유한 연구소, 대학 등이 참여하는 연구인프라 협의체도 구성해 운영한다.
    개방형 시설 활용시 BL3 미보유 기관의 감염병 연구 허용, 실험승인 심사기간을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하고 연구자원 취급규제도 개선한다.

    ◆바이오산업 지식재산 정책지원=정부는 개발단계부터 특허분쟁 대응, 지식재산 데이터 활용지원 등 바이오헬스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지식재산데이터활용·보호를 위해 특허생물자원 통합정보DB(바이오 지식재산 데이터댐)를 2022년까지 구축해 실시간 제공하고 하반기중 의료‧방역 물품을 특허출원 우선심사 대상에 포함해 심사기간을 약 12개월(14.1→2.1개월) 단축한다.
    지식재산 보호·분쟁 대응을 목표로 특허·영업비밀 보호를 위해 기술침해·인력탈취 조사·수사 전담체계를 구축하고, 2021년까지 부정경쟁방지·영업비밀보호 5개년 계획 수립, 산업재산권 정보 분석·활용 촉진법 제정도 추진한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김연수 서울대학교병원장, 이효근 SD바이오센서 대표, 묵현상 국가신약개발 사업단장, 김재섭 에이프로젠 대표이사, 김법민 범부처 전주기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장 등이 참석했다.
    이정환 기자 (junghwanss@dailypha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