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자료
  • 제약산업전략
  • 제약자료

    제약자료

     구인 신청  채용 정보  이력서 등록

      고객지원센터

      02 - 555 - 5425

      nawchoi@naver.com

    제약산업전략

    제약/바이오전문 1등 헤드헌팅사 나우팜컨설팅

    유망 바이오벤처 발굴, 70개 제약사·VC와 함께 뛸 것

    페이지 정보

    관리자 23-03-24 09:44

    본문

    "유망 바이오벤처 발굴, 70개 제약사·VC와 함께 뛸 것"
    황진중 기자 2023-03-16 05:50:40

    조헌제 본부장,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 운영계획 소개
    제약사·바이오벤처·스타트업·투자사 개방 혁신 플랫폼
    "혁신생산성 꾸준히 저하...오픈이노베이션 필수"

    [데일리팜=황진중 기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주도로 꾸려진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가 제약사와 투자사의 연계 역할을 자처했다. 산·학·연, 사업개발 등 전문가 인프라와 기술사업화 인프라, 인적 네트워크 등에 기반을 두고 전국 곳곳에서 바이오벤처·스타트업을 발굴해 제약사와 투자사 등을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조헌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연구개발진흥본부 본부장은 15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2023년도 춘계 KDRA 기자단 정기 간담회'에서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 운영계획을 소개했다.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 새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도약

     ▲ 조헌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연구개발진흥본부 본부장이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 운영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사진 데일리팜).
    조 본부장은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가 참여 기관별 역할 분담을 통해 전국 곳곳에 흩어진 유망 기술·플랫폼을 보유한 바이오헬스 벤처와 스타트업을 발굴할 것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 참여 기관은 70여곳이다. 지난달 7일 기준 63곳에 비해 한 달여 만에 7곳 늘어났다. 주요 참여사는 종근당, 대웅제약, 안국약품, 한국휴텍스제약, 현대약품, 비씨월드제약 등이다. 벤처캐피탈(VC)은 삼성증권, 한화투자증권, CKD창업투자,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엘앤에스벤처캐피탈, BSK인베스트먼트, 비투윈파트너스, 대덕벤처파트너스 등이다.

    민간과 공공 클러스터도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에 참여한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우정바이오, 홍릉강소특구사업단 등이다. 참여기관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의학연구재단, 엑셀베스트, 나이스평가정보, 아주첨단의료바이오연구원 등도 포함됐다.

    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는 산·학·연, 사업개발 등 전문가 인프라와 기술사업화 인프라, 인적 네트워크 등에 기반을 두고 투자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화합물과 바이오, 첨단바이오, 디지털치료제(DTX), 융복합, 의료기기 등 기술분야별 산·학·연·벤처·스타트업 분과 모임 정기 협의회를 진행할 방침이다.

    투자협의체는 또 제약사 등 기업과 바이오벤처, 스타트업, 벤처캐피탈(VC)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기 세미나와 심포지엄, 포럼들을 개최할 계획이다.

    협의체는 대학·연구기관이 갖고 있는 기술·플랫폼의 사업화 연계도 촉진할 예정이다. 융복합 기술발전 추세를 반영해 ICT, 디지털 플랫폼 등 타산업분야 벤처와 스타트업도 발굴할 방침이다. 산·학·연·벤처·스타트업·제약사·투자기관간 역할분담형 투자·제휴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바이오벤처·스타트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사업개발 등과 관련한 교육도 진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협의체는 발굴한 정보를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할 예정이다. 온라인 바이오헬스투자 플랫폼을 구축하고 인터비즈 바이오파트너링&투자포럼, 제약산업기술거래센터(PTBC), 제약바이오사업개발연구회(K-BD Group) 등 기술 플랫폼과 공조를 통해 기술·플랫폼·정보를 공유할 방침이다. 전국 바이오벤처스타트업 투자박람회 등 오프라인 투자·제휴의 장도 조성할 예정이다.

    조 본부장은 "바이오벤처·스타트업이 R&D에 자신이 있지만 사업개발 등 다른 영역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면서 "경영전략, 재무관리 등도 필요하고 지식재산권 관리에 대한 경험도 요구된다. 협의체 차원에서 혁신과 경영 전문성을 높이려는 목표가 있다"고 말했다.

    조 본부장은 이어 "궁극적으로 제약사·벤처·스타트업·투자사가 상생하는 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서 "많은 바이오벤처·스타트업들이 나름대로 역량 범위 안에서 오픈이노베이션을 진행 중이므로 투자협의체는 새로운 파트너링, 투자 협의의 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본부장은 또 "민간이 움직이지 않으면 정부의 어떤 정책도 효용이 없어지는 것"이라면서 "정부와의 교감 등을 활용하면서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생산성 위기·기술 급변...오픈이노베이션 통해 극복 가능

    조 본부장은 바이오헬스 산업계에서 혁신성 저하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픈이노베이션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설명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분야에서는 산업 생산성 위기가 지속하고 있다. 시장조사기업 글로벌 데이터에 따르면 신약을 개발하기 위한 평균 비용은 지난 2014년 1조8256억원 규모에서 2018년 2조8297억원 규모로 늘었다. 반면 신약 출시 후 연구개발(R&D) 투자 대비 수익률은 같은 기간 5.5%에서 1.9%로 감소했다.

    조 본부장은 "과거보다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지만 성과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면서 "약 하나 개발하는 데 필요한 자금은 더 많아지고 있지만 약물 하나 출시 시 투자 대비 수익률은 이제 2%도 안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외에도 임상시험 기간이 증가하고 국내 신약 파이프라인 공급이 부족해지는 위기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2014년 기준 임상 1상시험 528일, 2상시험 722일, 3상 996일 등 총 2246일(6.15년) 걸리던 임상시험 기간은 2018년 1상 573일, 2상 789일, 3상 1049일 등 총 2411일(6.61년)로 늘었다.

    신약 파이프라인은 비임상 후보 파이프라인에 비해 발굴된 후보물질 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황이다. 국가신약개발사업 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비임상 단계 연구를 진행 중인 후보물질은 323개다. 비임상 단계에 후보물질 323개가 진입하기 위해서는 후보물질 탐색 단계 파이프라인 수가 378개는 필요하지만 발굴된 후보물질은 247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 본부장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빠르게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혁신기술이 등장하고 있다고 봤다. 그는 "지속가능한 생태계에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핵심 혁신 기술, 첨단 기술들이 점점 바이오헬스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조 본부장은 이어 "바이오헬스 산업계가 최신 기술을 전통적인 방식을 통해서 접목할 수 있을 지 회사 내에 최신 기술 관련 전문 인력이 없는데 어떻게 할 것이냐는 의문이 든다"면서 "이제는 바이오벤처와 스타트업, 제약사, 벤처캐피탈 등이 처음부터 손을 잡고 융합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형태를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본부장은 "바이오헬스도 IT 등에 대해 대비를 해야 한다. 융합할 수밖에 없는 시기가 왔다"면서 "신약 개발을 보면 외부에서 도입한 약물 성공률은 33%이지만 자체 개발 약물 성공률은 11%다. 오픈이노베이션이 중요하다는 증거가 이미 시장에 나와 있다"고 강조했다.

    황진중 기자 (jin@dailypharm.com)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